알고리즘

[알고리즘] 완전 탐색과 시뮬레이션 - 시키는 대로 구현하기의 시작

dev-nadan 2025. 7. 30. 15:08

 

문제 개요

완전 탐색과 시뮬레이션은 문제 해결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접근 방식이자, 정답을 보장하는 방법이다.

 

이 챕터에서는 “시키는 대로 코드 짜기”라는 말처럼,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들을 하나씩 구현하며 익숙해지는 것이 핵심이다. 문제 해결 전에 요구사항을 정확히 분석하고,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본 뒤 코딩에 들어가는 연습이 필요하다.

 

특히 이번 편에서는 “분석적 사고”와 “단계적 구현 능력”을 기르기 위한 첫 번째 준비운동으로, 완전 탐색과 시뮬레이션 문제 1개를 다뤄보려 한다.

 


완전 탐색이란?

 

**완전 탐색(Brute Force)**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서 정답을 찾는 방식이다. 성능은 떨어질 수 있지만, 정답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직관적이고 강력한 도구이다.

 

예를 들어, 1부터 100 사이의 숫자 중 정답이 하나 있다는 조건이 주어진다면, 1부터 차례대로 대입해서 확인하면 반드시 정답을 찾을 수 있다.

 


 

시뮬레이션이란?

 

시뮬레이션(Simulation)은 실제 상황을 코드로 옮겨가며,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상태를 변형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2차원 공간에서 이동하며 특정 행동을 하는 문제에서는, 이동/회전/조건 체크 등의 모든 과정을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시뮬레이션이다.

첫 문제 접근 방식

❗ 시뮬레이션과 완전 탐색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을 정확히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무리 복잡해 보여도, 요구사항을 하나씩 분리해서 조건문으로 옮기면 해결된다.

 

문제를 푸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문제 요구사항 정리 (입력, 출력, 규칙, 제약조건)
  2. 가능한 상태의 수 계산 (완전 탐색 범위 판단)
  3. 반복문이나 조건문으로 그대로 구현

핵심 키워드 요약

  • Brute Force: 모든 경우를 시도
  • 조건 분기 처리: if/else를 잘게 나눠야 함
  • 단계적 구현: 한 줄 한 줄 요구사항을 해석하며 구현
  • 디버깅 습관: 예상 출력과 실제 출력을 비교하면서 실수를 빠르게 찾아야 함

마무리

이번 편에서는 완전 탐색과 시뮬레이션의 시작을 알리는 준비운동을 해보았다. 본격적인 문제 풀이에 앞서, 구현형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요구사항을 놓치지 않고, 정직하게 구현하는 습관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여기서 이런 걸 배웠습니다:

 

  • 완전 탐색과 시뮬레이션의 개념 차이
  •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적 사고 프로세스
  • 요구사항을 단계적으로 코드에 반영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