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2

[Spring 완전 정복 시리즈 - MVC편] 1편 - 웹 애플리케이션의 이해

이번 편에서는 스프링 MVC의 시작점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조와 개념을 살펴본다.서블릿, WAS, 스레드, SSR과 CSR까지, 우리가 백엔드 개발자로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기반 지식을 먼저 짚고 넘어가자.1. 웹 서버 v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웹 서버: 정적인 HTML, CSS, JS, 이미지 같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에게 그대로 전달WAS (Web Application Server):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결과 데이터를 만들어 전달⟶ 둘을 함께 사용하면웹 서버는 정적인 리소스를 처리하고, WAS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전담하여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다.2. 서블릿(Servlet)의 등장과 역할HTTP 요청/응답의 처리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은 ..

Spring 2025.08.02

[Spring 완전 정복 시리즈] 마지막편 - 기본편 완강 회고 및 마무리

항상 물심양면 지원해주신 멘토님, 깊은 인사이트와 학습 기회를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스프링을 처음 접했을 때는 단순히 “자바 웹 프레임워크”라는 정도의 인식만 가지고 있었다.하지만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를 완강하고 나니, 단순히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스프링의 철학과 아키텍처, 그리고 객체 지향 설계 원칙까지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어떤 내용을 공부했는가?1. 스프링의 탄생과 철학스프링이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기존 EJB의 문제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부터 시작했다.스프링은 단순히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라는 본질을 알게 됐다.2. 스프링 컨테이너와 DI (의존관계 주입)ApplicationContext의 개념부터 빈 등록 방식, 자..

Spring 2025.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