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2

[Spring 완전 정복 시리즈 - MVC편] 3편 - 서블릿 응답의 모든 것

이전 편에서 서블릿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정리했다면, 이번에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서블릿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통해 HTTP 응답 메시지를 직접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1. HttpServletResponse란?HttpServletRespons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낼 때 사용하는 객체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HTTP 응답 코드 설정응답 헤더 설정응답 바디 작성쿠키 추가리다이렉트 처리이 객체를 활용하면 개발자가 응답을 원하는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2. 상태 코드, 헤더, 바디 직접 설정하기@WebServlet(name = "responseHeaderServlet", urlPatterns =..

Spring 2025.08.07

[Spring 완전 정복 시리즈 - MVC편] 2편 - 서블릿의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

이번 편에서는 스프링 MVC의 기반이 되는 서블릿(Servlet) 개념을 실제 코드와 함께 정리해본다. 서블릿을 학습하는 이유는 명확하다.“스프링 MVC는 서블릿 위에 구현된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서블릿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결국 스프링 MVC의 핵심을 놓칠 수밖에 없다.1. 서블릿이란?서블릿은 자바에서 웹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술이다.HTTP 요청을 받아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HTML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자바 EE(Jakarta EE)의 일부이며, 스프링 MVC, JSP, Struts 등의 기반이 된다.2. 서블릿 등록하기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 서블릿을 간단히 등록할 수 있다.@ServletComponentScan // 서블릿 자동 등록@SpringBootApp..

Spring 2025.08.07